반응형

 

 

 

래식을 감상할 때 알아두면 매우 유용한 클래식 용어정리 두 번째

 

클래식 음악 용어

 

 

Opus (Op.) : 작품번호

k.v. (k. Kochel Verzeichnis 쾨헬번호) : 모차르트 연구가였던 루드비히 폰 쾨헬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모차르트의 전 작품에 연대순으로 붙인 번호.

a cappella (아카펠라) : 아카펠라 (무반주 합창곡)

bel canto (벨칸토) : ‘아름다운 노래’라는 뜻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아름답게 노래하기 위해 오페라에 쓰였던 화려하고 기교적인 창법

Concertmaster (콘서트마스터) : 악장. 관현악단에서 전 단원을 대표하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지도역할하는 제1바이올린 수석연주자

Counter Tenor (카운터테너) : 가성으로 여성처럼 소프라노 음역을 노래하는 남성 성악가

maestro (마에스트로) : 대지휘자를 칭하는 말

Prima donna (프리마 돈나) : 오페라나 발레의 주인공 여가수/여배우

primo uomo (프리모 우오모) : 오페라나 발레의 남자 주인공

Solo (솔로) : 독주, 독창

Trio (트리오) : 3중주, 3성부의 곡

Quartet (콰르텟) : 4중주

Quintet (퀸텟) : 5중주

 

협주곡[ Concerto ]

 

 

협주곡의 이탈리아어 표현인 Concerto는 어원인 콘체르토는 중세 라틴어 "합동 참여하다, 경연하다. 경합하다"의 뜻을 지닌 라틴어의 동사 콘체르타레(concertare)에서 나온 말입니다. 이것은 여러 음성 간의 경연으로 풀이할 수 있으며, 일반적으로는 화려한 연주기교를 구사하는 독주악기(또는 독주악기군)와 관현악을 위해 작곡된 기악곡을 가리킵니다. 16세기 이후 바로크 시대의 협주곡에 사용된 이래로 현대 협주곡의 일반적 의미로 통용되죠..

 

협주곡의 종류

⑴ 성악콘체르토

사람의 목소리와 악기의 협주라는 요소가 많이 내포되었으며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A.가브리엘리, G.가브리엘리, 반키에리, 비아다나, 몬테베르디 등이 좋은 작품을 썼고, 독일에서도 샤인, 슈츠 등이 이 양식을 계승

 

⑵ 콘체르토 그로소<합주협주곡>

바로크시대 특유의 기악협주곡으로 몇 개의 악기로 이루어진 독주군(콘체르티노 또는 솔리)과 대개는 현악 오케스트라의 합주부(리피에노 또는 콘체르토 그로소)로 이루어져 2군의 음량의 대비를 특징..이탈리아의 코렐리에 의해 확립..합주 협주곡은 같은 악기 또는 종류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악기가 오케스트라나 앙상블과 협연하는 것이 일반적..

 

⑶ 솔로 콘체르토<독주협주곡>

오늘날 가장 많이 연주되는 것이 단일 독주악기와 관현악으로 이루어진 독주협주곡이며 독주악기에 따라서 피아노협주곡 ·바이올린협주곡 등으로 불림

 

 

 

악곡의 형식 면에서 협주곡은 독주악기와 관현악을 위한 소나타다. 전형적인 것으로는 빠르게-느리게-빠르게의 3악장으로 되어 있고,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, 제2악장은 리드 형식, 제3악장은 론도 형식을 취하는 것이 상례..

 

클래식 추천 음악 -> 클래식 중간 초급 추천

클래식 추천음악 -> 완전 초보 추천

악보의 나타냄말 종류 -> 악보의-나타냄말-빠르기

 연관 검색어 : 클래식용어, 클래식 감상, 심포니,마에스트로,소나타,비발디,칸타타,생활속 클래식용어,클래식무료듣기

 

반응형
Posted by JOCKEY